문학산책

명철보신(明哲保身)의 참다운 의미 (다산문학)

yjh09 2014. 2. 18. 13:04

 

명철보신(明哲保身)의 참다운 의미

학자들끼리 학문논쟁을 통해 진리를 밝혀내는 것보다 더 보람 있는 일은 없습니다. 다산의 글을 읽다 보면, 당대의 석학들과 직접 만나 학문을 토론했던 아름답고 의미 깊은 만남도 많았지만, 멀리 떨어져 살면서 함께 어울리기 어려운 학자들과는 편지를 통해 심도 깊은 학문 토론을 전개했던 경우가 매우 많았습니다. 참으로 부럽고 본받고 싶은 학자들의 사귐이었습니다. 18년의 귀양살이를 마치고 귀향한 뒤의 학자들과의 토론은 다산의 학문이론을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특히 의미가 컸습니다.

다산의 편지를 차분히 읽어보면 유독 대산(臺山) 김매순(金邁淳:1776〜1840)이라는 학자와의 학문토론이 따뜻한 온기까지 풍기면서 의미 깊게 생각됩니다. 김매순은 안동김씨 권세가 집안 출신의 학자인데 문장도 뛰어나고 학문도 깊어 대단한 성망을 지녔던 학자였습니다. 다산이 벼슬할 때 젊은 김매순과 잠깐 조정에서 함께 근무했던 인연이 끈을 이어주어 두 사람 관계는 몇십 년 뒤에야 복원되어 우정 어린 학문토론을 계속했습니다.

다산과 대산, 당파도 다르고 신분에도 차이가 있었지만, 그런 모든 장애요인을 벗어나 두 학자는 정말로 멋진 토론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대산이 다산의 학문적 깊이와 높이에 매료되어 다산의 학문에 한없이 높은 평가를 내렸던 것은 매우 중요한 사실이었습니다. 그런 두 학자 사이에 ‘명철보신’이라는 글자 네 자에 대한 토론의 편지가 있습니다. 세속에서는 이롭느냐 해롭느냐를 밝히는 것이 명(明)이고, 불리한 경우엔 침묵할 줄 아는 것을 철(哲)이라 하고 몸을 온전하게 지키며 재난을 면하는 것을 보(保)라고 했던 때였습니다. 그러나 다산과 대산은 그런 뜻이 아니라는 견해의 일치를 보고서 새로운 해석을 내려, 그 네 글자의 본래 의미가 어떤 뜻인가를 밝혀냈습니다. 다산의 해석은 이렇습니다.

“선악(善惡)을 분별함을 ‘명’이라 하고, 시비(是非)를 분별함을 ‘철’이라 하고, 어리고 약한 사람을 부지(扶持)함을 ‘보’라 한다.”라는 의미로 옛사람의 주석을 인용하여 다산이 해석해냈습니다. 김매순도 전적으로 찬성한 해석이었습니다. 그래서 다산은 더 부연했습니다. 대신(大臣)은 ‘명철보신’해야 한다고 했으니, 임금을 보필하는 고관대작은 사람을 천거하여 임금을 섬기게 해야 하기 때문에 선과 악을 밝게 구별하여 어진 선비들이 출사할 수 있게 해주고, 시비를 밝게 분별하여 뛰어난 사람을 발탁하게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진 선비와 뛰어난 사람들이 자신의 몸도 보존해야겠지만 그에 앞서 섬기는 임금이 더욱 보존되도록 하는 것이 ‘명철보신’의 의미라는 것이었습니다.

임금이 하는 일이나 사람이 하는 일에서 어떤 것이 선악이고, 임금이나 신하들이 하는 일에서 어떤 것이 옳고 그른가를 분별하여 선하고 바르게만 되게 하는 고관대작의 일이 명철보신인데, 자신의 몸 보존만을 위해 선악도 시비도 가리지 않고, 이해관계만 따져 불리할 때는 침묵해버리는 것이 고관대작의 일이 아니라는 뜻이었습니다. 자신의 보신을 위해 선악과 시비에 침묵을 지키는 오늘의 고관대작들, 그러니 인사의 난맥상은 끊일 날이 없네요. 인사정책에 조롱을 받는 이유가 거기에 있지 않을까요.